이번 질병관리청에서는 2023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를 발표하였다.
조사 결과 2023년 중증외상 환자는 8,192명으로, 중증외상 환자 중 남자(72.0%)가 여자(28.0%)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고, 연령별로는 60대(1,863명, 22.7%)의 환자가 가장 많았다
중증외상 환자의 치명률(사망)은 54.7%(4,485명)로 전년도(56.3%)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며, 2016년 60.5%와 비교해 전체적으로 감소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생존자 중 73.8%는 장애가 발생하였고, 28.8%의 환자는 중증장애가 발생하였다. 장애율은 2016년 62.8%에서 2023년 73.8%로 증가하였으며, 중증장애율은 2022년까지 감소추세였으나, 2023년 28.8%로 증가하였다. 장애율과 중증장애율이 2023년에 상당히 증가한 이유에 대해서는 추가 분석이 요구된다.
중증외상은 주로 운수사고(49.1%)와 추락·미끄러짐(43.8%)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운수사고의 비율은 감소(’16년 59.6%→’23년 49.1%)한 반면, 추락·미끄러짐은 ’16년 33.5%에서 ’23년 43.8%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운수사고가 감소하고는 있으나, 최근 사회변화로 인해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손상 발생도 증가하고 있다. 운수사고 유형별 중증외상 발생 결과를 살펴보면, 보행자, 차량 등의 운수사고로 인한 중증외상 환자는 모두 감소한 반면, 개인형 이동장치 등이 포함된 기타 유형으로 인한 중증외상 환자는 2016년 34명(0.7%)에서 2023년 103명(2.6%)으로 약 3배 가량 증가하였다.
질병관리청에서 작년에 공개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인형 이동장치 사용 중 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75%는 헬멧을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사용에 대한 인식제고가 시급함을 알 수 있다.
이 글은 오코어 이도뉴스에 저작권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