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량 적고 오래 앉아있을수록 신장병 위험 커진다

0
59

신체 활동량이 적을수록, 오래 앉아있을수록 만성 신질환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동경희대병원 신장내과 김양균 교수는 코호트 연구를 통해 신체활동과 좌식 생활이 만성 신장질환 발생을 높인다는 결과를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국립보건연구원과 함께 안산·안성 지역에 거주하는 40~60대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체 활동량과 만성 신질환의 발생률에 관한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총 7988명의 혈액, 소변 검사와 신체 활동량을 분석하고 평균 12년간의 상태를 추적했다.

신체 활동량과 좌식 시간은 상·중·하의 세 단계로 분류했고, 이 세 그룹의 신장 기능 변화와 만성 신질환 발생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신체 활동량이 적을수록 좌식 시간이 길었으며, 신체 활동량이 적거나 좌식 시간이 길수록 기저 신기능이 좋지 않았다. 건강한 사람이더라도 노화가 진행되면 신장 기능도 점차 나빠지는데, 신체 활동량이 적은 그룹과 좌식 시간이 긴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신기능이 더 가파르게 저하됨을 확인했다.

또한 12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 신체활동이 적은 그룹과 좌식 시간이 긴 그룹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만성 신질환의 발생률도 높았다. 다만, 좌식 시간이 길더라도 신체 활동량이 많으면 만성 신질환 위험도가 증가하지 않음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좌식 시간이 길어도 신체 활동량을 늘리면 신장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것을 알게됐다”며 “좌식 생활의 패턴을 바꾸기 어렵더라도 신체활동을 늘려 비만, 심장질환, 만성 신장 질환 발생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년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신체활동을 늘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그는 “이번 연구의 대상자들은 40~60대 신장질환이 없는 일반인”이라며 “하지만 일반인도 오래 앉아 생활하고 신체활동을 줄이면 10~20년 뒤 만성 신질환 환자가 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건강한 노년을 위해 신체활동을 늘리고 운동을 시작해 좌식 생활이 주는 위해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